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122)
[JPA] JPA 연관관계 매핑 (2) 단방향과 양방향 연관관계테이블에서의 연관관계테이블: 외래 키 하나로 양쪽 조인 가능. 방향이라는 개념이 없음.객체: 참조용 필드가 있는 쪽으로만 참조 가능.한쪽만 참조하면 단방향.양쪽이 서로 참조하면 양방향.연관관계의 주인테이블: 외래 키 하나로 두 테이블이 연관관계를 맺음.객체 양방향 관계: A -> B, B -> A처럼 참조가 2군데.객체 양방향 관계: 참조가 2군데 있음. 둘 중 테이블의 외래 키를 관리할 곳을 지정해야 함.연관관계의 주인: 외래 키를 관리하는 참조.주인의 반대편: 외래 키에 영향을 주지 않음, 단순 조회만 가능. 다대일 [N:1]다대일 관계에서는 여러 엔티티가 하나의 엔티티와 연관됩니다. 예를 들어, 여러 Member가 하나의 Team에 속하는 경우입니다.-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연..
[JPA] JPA 연관관계 매핑 (1) "객체를 테이블에 맞추어 데이터 중심으로 모델링하면, 협력 관계를 만들 수 없다."는 말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 간의 근본적인 차이점을 설명합니다. 이를 더 자세히 이해하려면,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차이점을 고려해야 합니다.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(OOP)객체와 협력 관계: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들은 서로 협력하여 기능을 수행합니다. 예를 들어, Member 객체와 Team 객체는 서로 참조하고 협력하여 데이터를 처리합니다.객체 간의 관계는 참조 (reference)를 통해 직접 연결됩니다.상태와 행위:객체는 상태(state)와 행위(behavior)를 가지며, 메서드를 통해 다른 객체와 상호작용합니다.관계형 데이터베이스 (RDB)테이블과 외래 ..
[JPA] JPA 엔티티 매핑 @Entit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JPA가 해당 클래스를 엔티티로 인식하여 관리하게 됩니다. 엔티티 클래스 작성 시 주의할 점과 @Entity 어노테이션의 속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.@Entity 어노테이션@Entity 어노테이션은 JPA가 해당 클래스를 엔티티로 인식하고,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매핑할 수 있도록 합니다. 이 어노테이션은 클래스 수준에 적용해야 합니다.주의 사항기본 생성자:JPA가 엔티티 객체를 생성할 때 사용합니다.반드시 파라미터가 없는 public 또는 protected 기본 생성자가 필요합니다.final 키워드 사용 제한:엔티티의 필드에는 final 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 JPA가 엔티티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.필수 어노테이션:JPA를 사용하여 데이터..